우리나라의 담배 도입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임진왜란 직후 일본을 통하여 포르투갈의 담배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습니다. 그 후 17세기 말 궐련(Cigarette)이 등장하며 조선시대에 담배가 보편화 되었습니다. 그 후 여러 형태의 담배가 등장하였고 20세기 초만 하더라도 담배의 유해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흡연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금연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담배에 대한 유해성 인식이 높아졌지만 상대적으로 전자담배에 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자담배는 니코틴이 들어 있는 용액을 가열해 기체를 만드는 배터리 충전식 분무기로, 제품마다 성분이 다양하여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장기적 사용에 대한 영향이 알려진 바 없어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흡연의 역학
2015년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39.3%로 OECD 국가 중에서 높은 수준입니다.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5.5%로 집계되고 있으나 과소보고가 심하여 실제는 2배 이상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율도 15% 이상이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흡연자의 절반은 담배로 사망할 만큼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전 세계에서 매년 6백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이중 간접흡연 사망률도 10%에 달합니다. 간접흡연 사망자의 대부분은 어린이와 여성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58,000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습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10~11년 정도 평균 기대수명이 짧고, 매년 7~10조 원의 의료비 손실로 이어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흡연과 치아 건강
1. 구강암
전세계에서 6번째로 자주 생기는 암으로 1년에 약 263,000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합니다. 선진국보다 후진국에서 많이 발생하며 인디아, 스리랑카, 파키스탄 남성이 전체 암 발생 비중의 30%를 차지합니다. 그 이유는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하는 씹는 담배, betel nut chewing 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구강암은 구내염과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에 감별진단에 유의해야 합니다. 구강 내 백색 혹은 붉은색 병소가 나타나며 반점이나 궤양 형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2주 이상 치유되지 않는다면 구내염과 다른 양상의 병소로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은 구강암의 증상 및 징후입니다.
- 2주 안에 치유되지 않는 점막궤양, 백색이나 붉은 반점 병소
- 구강의 지속적인 통증
- 구강 연조직에 지속적인 덩어리나 비후가 존재
- 뭔가 목구멍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이나 지속적인 목구멍 따가움
- 음식을 씹거나 삼키기 어렵고 통증이 지속
- 턱이 부어서 틀니가 잘 맞지 않거나 불편감이 지속
- 치아가 흔들리거나 치아나 턱 주위의 통증
- 청력소실 없이 한쪽 귀의 통증
- 입을 벌리기 힘든 상태 지속 -> 일반 구강질환과 감별진단 필요
2. 잇몸질환
흡연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우리 몸에서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특히 흡연의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구강은 더욱더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담배를 지속적으로 피게 되면 우리 몸의 방어 기전이 약하게 되며 잇몸 환경이 변화됩니다.
또한 세균의 감염에 취약하게 되고 염증 반응을 촉진시켜 치조골 (잇몸뼈) 파괴를 가속화 시킵니다. 또한 담배 연기 성분에 의해 잇몸 주변 혈관의 변화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저하되고, 콜라겐 합성을 방해하게 되어 잇몸 치유를 지연시킵니다. 흡연은 잇몸병을 유발하는 비유전적 요인 중에서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백혈병만큼 흔하며 흑생종만큼 위험합니다.
- 면역 기능저하 (CD4/CD8 비율 감소, 타액의 IgA & IgG 감소)
- 치은 연하 환경의 변화 ( 병원균에 취약)
- 치조골 (잇몸뼈) 파괴 가속
- 치유 지연 ( 혈관의 수축으로 인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 저하, 콜라겐 합성 방해)
금연시 신체 변화
35세 이전에 금연하면 흡연으로 인한 평균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금연 연령이 늦어질수록 금연의 효과는 감소하며 금연 8년 후에는 허혈성 뇌졸증 사망률이 48%, 심근경색 사망률이 57%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금연 10년 후에는 전체 암 발생 23%, 흡연 관련 암 발생 47%, 폐암 발생 79% 감소한다고 하며 일찍 금연할수록 수명 연장은 더 길어진다고 합니다
금연 이후 시간에 따른 신체 변화
다음은 금연 이후 시간에 따른 신체 변화를 나타낸 것입니다. 금연 후 15년이 지나면 비흡연자와 같아짐을 알 수 있으며 금연은 일찍 시작할수록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연 이후 시간 | 신체 변화 |
20분 | 혈압, 맥박 수, 손과 발의 체온 등이 정상 수치로 회복 |
8시간 | 혈액 내 니코틴 수치가 가장 높을 때에 비해 90%이상 제거되고 10% 아래로 감소 |
12시간 | 혈중 산소량 정상 수준으로 회복, 혈장 일산화탄소 수치 정상 수준으로 감소 |
24시간 | 심리적 저항이 크며 불안 및 정서적 증사이 동반되며 흡연 충동이 심해짐 |
48시간 | 손상된 신경 말단이 회복되며 후각과 미각이 정상으로 돌아오기 시작 (분노 및 신경과민 증상이 정점을 찍음) |
72시간 | 혈액 내 니코틴 수치가 0%에 근접하고 니코틴 대사물 중 90%가 소변을 통해 제거 (금단 현상 최고치) |
일주일 | 하루에 3번 정도 강렬한 흡연 욕구가 증가하지만 3분 이내에 사라짐 |
10일 | 하루에 2번 정도 강렬한 흡연 욕구를 느끼지만 점차 욕구가 줄어듬 |
2주 | 흡연 충동이 상당히 낮아짐. 잇몸과 치아의 혈액 순환이 정상인과 비슷 |
3주 | 뇌의 니코틴 수용체 수가 감소하여 비흡연자 수준으로 회복 |
2달 | 평균 2.7kg의 체중 증가가 있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 |
3달 | 순환 기능이 정상에 가까우며 만성기침이 사라짐 |
1년 | 흡연으로 인한 코막힘, 숨 찬 증상이 사라지며, 폐 섬모가 다시 정상적으로 회복 |
2년 | 흡연으로 폐에 쌓여있던 가래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 |
5년 | 뇌졸증 위험이 비흡연자와 비슷해짐 |
10년 |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하루 1갑 흡연하는 사람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 |
15년 |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위험이 담배를 한 번도 피우지 않은 사람과 비슷 |
마치며..
흡연은 폐 뿐만 아니라 구강에도 매우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담배 성분에 의해 혈액 순환을 감소시켜 치유를 지연시키므로 사랑니 발치 이후에 흡연을 하게 되면 발치 부위가 잘 아물지 않고 심할 경우 드라이 소켓 (dry socket)으로 고생할 수 있습니다.
또 치아 발치 이후에 행해지는 임플란트 시술에 담배는 매우 안좋은 영향을 끼치며 임플란트 시술 이후 지속적인 흡연은 추후에 임플란트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중 하나입니다. 만약 술과 흡연을 함께 할 경우 구강암 위험 또한 매우 높아집니다. 구강암은 발병시 치사율이 다른 암에 비해 높은 편이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야 하는 암 중에 하나입니다. 따라서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
-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방법입니다.
사랑니 발치(wisdom teeth) 1부 (+ 정의 및 뽑아야 하는 이유)
드라이 소켓(Dry Socket), 사랑니 발치 후 부작용 4부
턱이 아파요, 귀 밑 통증 (+턱관절 질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법)
건강보험임플란트 적용기준 및 가격 (+65세 이상, 평생 2개 혜택)
'치과이야기 (dental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중 구강관리, 임신 중 치과치료 가능할까? (1) | 2021.11.15 |
---|---|
내 아이 치아(유치) 나는 순서 (+ 영유아 구강검진, 임신 중 구강관리 ) (2) | 2021.03.06 |
스케일링 비용 및 의료보험 적용 기준 (+ 주기, 스케일링 효과 ) (18) | 2021.01.28 |
금연치료 과정 및 약물 소개 (+금연 후 신체 변화) (25) | 2021.01.12 |
건강보험임플란트 적용기준 및 가격 (+65세 이상, 평생 2개 혜택) (16) | 2020.12.18 |
턱이 아파요, 귀 밑 통증 (+턱관절 질환,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법) (36) | 2020.12.09 |
드라이 소켓(Dry Socket), 사랑니 발치 후 부작용 4부 (19) | 2020.11.26 |
사랑니 발치 후 부작용(+신경손상, 3부) (25) | 2020.11.18 |